본문 바로가기
2009.12.18 03:39

강추위

조회 수 771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추위

“눈보라를 동반한 강추위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고 있습니다.” 날씨를 전하는 기상 캐스터의 말이다. ‘강추위’는 한자어 접두사 ‘강(强)-’에 ‘추위’가 결합한 말이다. 이 말은 최근에야 일부 사전에 올랐다. 이전에도 ‘강추위’라는 말은 있었지만 우리말 접두사 ‘강-’을 쓴 ‘강추위’였다. 일부 사전들은 최근 들어 이 두 말을 다른 뜻의 말로 사전에 올렸다.

‘강추위’는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强)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다. 우리말 접두사 ‘강-’은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한다. ‘강추위’는 몹시 매운 추위지만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는’ 추위라고 했다. 어디서 이런 뜻이 왔을까? 접두사 ‘강-’에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그것만으로 된’이라는 뜻이 따로 있다. ‘강바람, 강술, 강굴, 강조밥, 강풀’ 등으로 쓰인다. ‘강술’은 안주 없이 마시는 술, ‘강조밥’은 좁쌀만으로 지은 밥, ‘강풀’은 물에 개지 않은 풀이다. ‘꽁보리밥’도 ‘강보리밥’이 변한 말이다. 이 뜻까지 보태진 것이 ‘강추위’라고 보면 되겠다.

언론들이 ‘강-’을 ‘강(强)-’으로 해석하여 눈보라가 몰아치는 추위를 ‘강추위’라 했고, 언어대중들도 그렇게 받아들임에 따라 사전이 두 말을 구분하여 올렸다. 눈이 오거나 바람이 불거나 관계없이 매우 심한 추위라는 뜻의 ‘맹(猛)추위’가 있다. 두 ‘강추위’의 뜻을 아우르는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03
3106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00
310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4
310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44
3103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04
3102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3101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61
3100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20
3099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60
3098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99
3097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88
3096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21
3095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41
3094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79
3093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52
3092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783
309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47
309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15
3089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43
3088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72
3087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83
3086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8024
3085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