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8 03:38

기린

조회 수 1017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린

겨레의 보배인 <삼국유사>를 지은 절이 경북 군위의 인각사(麟角寺)다. 여기 인각은 기린의 뿔을 이른다. 절의 동쪽과 서쪽은 기린의 뿔로 알려진, 팔공산맥이 뻗어내린 화산(華山)의 가지가 흘러 내려와 둥지를 틀고 있다. 기린의 뿔 위에 지은 절이라 하여 생긴 이름이다.

문헌을 보면, 기린의 기(麒)는 수컷, 인(麟)은 암컷을 이른다. 중국의 전한 말엽 경방(京房)이 지은 <역전>(易傳)에 이르기를, ‘인’은 몸이 사슴 같고, 꼬리는 소와 같으며, 발굽과 갈기는 말과 같으며, 빛깔은 5색이라고 하였다. 봉황과 마찬가지로 기린이 나타나면 거룩한 임금이 나타날 징조라고 여겼다. 한마디로 기린은 상상 속의 짐승이었다. 암컷 기린은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고 끝에 살이 붙어 있어 다른 짐승을 해치지 않는다. 그래서 기린은 어진 짐승의 표상으로 보았다. 기린을 뛰어난 인물에 비유하고, 그래서 뛰어난 젊은이를 ‘기린아’(麒麟兒)라고 한다.

우리말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기린의 풀이는 달라진다. 코끼리를 ‘코가 길다’ 해서 지은 것처럼 기린은 키가 짐승 가운데에서 가장 크다. 크다는 것은 긴 것이다. 그러면 기린은 목이 가장 긴 짐승이므로 그리 붙인 것은 아닐까.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0
1962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177
1961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9
1960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80
1959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82
1958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83
195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6
1956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86
195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90
1954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90
1953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1
1952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1
1951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95
1950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206
1949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7
1948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211
194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11
1946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12
1945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14
1944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216
1943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16
1942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22
1941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