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4 18:41

쌈마이

조회 수 940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쌈마이

쌈마이 영화, 쌈마이 인생 등 ‘쌈마이’라는 표현이 종종 들린다. 많은 이들이 인터넷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 밝힌 공통된 의견에 따르면 이것이 일본말에서 온 것이라 하며, 그 견해들을 확인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쌈마이’는 원래 ‘산마이메’(三枚目, さんまい-め)에서 ‘메’가 떨어져 만들어진 말이다. 일본말 사전에는 ‘(연극에서) 익살스러운 역 또는 그 역을 하는 배우’를 뜻한다고 풀이되어 있다. 그 연유는 이렇다. 일본 에도시대에 전통 연극인 ‘가부키’ 공연장에 연기자의 이름이 적힌 나무판을 걸어 놓는데, 첫째 판(이치마이메, 一枚目)에는 여자 주인공을 맡은 남자 배우의 이름이, 둘째 판(니마이메, 二枚目)에는 주연 남자 배우의 이름이 나온다. 그런데 셋째 판, 즉 ‘산마이메’에는 가부키의 감초 격인 광대 역을 맡은 배우 이름이 등장한다. 이 말이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당시의 연극계에서 하찮은 단역을 ‘쌈마이’라 일렀고, 이후 영화계에서도 이를 사용하였다. 그러던 것이 다른 분야를 거쳐 일반에게 알려져 지금처럼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일본말에서 ‘이치마이메’는 비유적인 뜻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만약 사용된다면 늘씬한 미녀를 가리키는 말로 쓰여야 할 터인데, ‘이치마이메’에 등장하는 여배우들이 실은 모두 남자이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설명이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19
196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8
196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02
196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11
1959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64
1958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30
195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63
1956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42
1955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7
1954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88
195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02
195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06
1951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2
1950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27
1949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61
194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49
1947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01
194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82
1945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06
1944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357
1943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12
1942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10
1941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