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04 16:46

실랑이

조회 수 897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랑이

지난주에 동의어를 설명하면서 “말은 본뜻에다 다른 뜻을 더하기도 하고 아예 다른 뜻으로 옮겨가기도 한다”고 했다. 어느 시점에서 어느 낱말의 형태와 의미가 특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는 말이다. ‘어리다’는 원래 ‘어리석다’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이화·동화·유추·오분석 등의 언어현상이 이런 변화를 일으킨다. 때로는 비유·상징 등의 수사(修辭)가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복지부 출입 기자와 잠시 실랑이를 벌였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실랑이’는 본래 ‘실랑이질’로서 남을 못살게 굴어 시달리게 하는 짓이란 뜻이었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남을 괴롭히는 것이 실랑이였다. 양쪽이 서로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고 옥신각신하는 데는 ‘승강이’라는 말을 썼다. 기사 내용을 보면 출입기자와 벌인 것은 실랑이가 아니라 승강이였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실랑이’에 ‘승강이’의 뜻을 보태놓았다. 두 말을 유의어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사전은 언어현상에 대해 다분히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문에 언어대중이 많이 쓰는 말도 사전적 해석으로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절대다수의 사람이 그렇게 쓴다면 사전도 물러설 수밖에 없다. ‘말 나고 문법 났지, 문법 나고 말 났나’ 하는 빈정거림이 이럴 때는 설득력을 갖게 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55
1368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34
1367 신병, 신변 바람의종 2010.07.18 10906
1366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291
1365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24
1364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399
1363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1362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66
»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76
1360 실랑이와 승강이 바람의종 2010.04.24 10518
1359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660
1358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06
1357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53
1356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16
1355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190
1354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54
1353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585
1352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34
1351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346
135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12
1349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088
1348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3
1347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