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04 16:46

실랑이

조회 수 901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랑이

지난주에 동의어를 설명하면서 “말은 본뜻에다 다른 뜻을 더하기도 하고 아예 다른 뜻으로 옮겨가기도 한다”고 했다. 어느 시점에서 어느 낱말의 형태와 의미가 특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는 말이다. ‘어리다’는 원래 ‘어리석다’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이화·동화·유추·오분석 등의 언어현상이 이런 변화를 일으킨다. 때로는 비유·상징 등의 수사(修辭)가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복지부 출입 기자와 잠시 실랑이를 벌였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실랑이’는 본래 ‘실랑이질’로서 남을 못살게 굴어 시달리게 하는 짓이란 뜻이었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남을 괴롭히는 것이 실랑이였다. 양쪽이 서로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고 옥신각신하는 데는 ‘승강이’라는 말을 썼다. 기사 내용을 보면 출입기자와 벌인 것은 실랑이가 아니라 승강이였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실랑이’에 ‘승강이’의 뜻을 보태놓았다. 두 말을 유의어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사전은 언어현상에 대해 다분히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문에 언어대중이 많이 쓰는 말도 사전적 해석으로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절대다수의 사람이 그렇게 쓴다면 사전도 물러설 수밖에 없다. ‘말 나고 문법 났지, 문법 나고 말 났나’ 하는 빈정거림이 이럴 때는 설득력을 갖게 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38
2666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758
2665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58
2664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59
2663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61
2662 선택사양 바람의종 2009.06.11 6763
2661 넘어는 동작, 너머는 공간 바람의종 2009.11.23 6767
2660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68
2659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772
265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775
2657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79
2656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81
2655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82
2654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83
2653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784
2652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6
2651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87
2650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89
2649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93
2648 나락 바람의종 2007.06.09 6795
2647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797
2646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802
2645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