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29 08:36

싸목싸목 허소!

조회 수 971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싸목싸목 허소!

‘싸목싸목’은 표준어 ‘천천히’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전라도에서 쓰는 말이다. ‘싸목싸목’은 본디 천천히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흉내말이었으나, 점차 다른 행위로까지 그 의미의 폭을 넓혀 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싸목싸목’이 ‘가다’나 ‘오다’, ‘걷다’ 같은 동사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자, 싸목싸목 가봅시다.”(<타오르는 강> 문순태) “안 엉칠라면 싸목싸목 씹어서 묵어사(먹어야) 쓴다.”(<녹두장군> 송기숙) ‘싸목싸목’의 또다른 형태는 ‘싸묵싸묵’인데, 이는 ‘싸목싸목>싸묵싸묵’과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경험한 결과이다. “날도 풀리고 희은이도 컸으니께 싸묵싸묵 돌아댕겨 봐야지.”(<목련꽃 그늘 아래서> 한창훈)

‘싸목싸목’과 마찬가지로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흉내말에서 유래하여 ‘천천히’의 의미를 갖는 ‘싸박싸박’과 ‘장감장감’을 들 수 있는데, 이 또한 전라도에서 두루 쓰이는 고장말이다. ‘싸박싸박’은 눈 쌓인 길을 사박사박 걷는 모양을, 장감장감은 비 내리는 길을 까치발을 디디며 징검징검 걷는 모양을 본뜬 말이다. 그래서인지 표준어의 ‘천천히’와 고장말 ‘싸목싸목, 싸박싸박, 장감장감’은 말맛이 다르다. “츤츤히 장감장감 걸어라 잉.”(<불의 나라> 박범신) “해 떨어질라문 안직 멀었네. 싸박싸박 걸어가소!”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75
2116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4
2115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1
2114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337
2113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638
2112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77
2111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60
2110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85
2109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60
2108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5
2107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75
2106 며늘아기, 며늘아가 바람의종 2010.08.06 14421
2105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65
2104 면면이, 면면히 바람의종 2011.10.27 10878
2103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62
2102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63
2101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219
2100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146
2099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87
2098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16
2097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36
2096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07
20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