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29 08:34

고니

조회 수 9842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니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령도는 곡도(鵠島), 곧 고니섬이었다. 고구려의 땅이었으며 뒤로 오면서 고려 태조가 하얀 고니에 뒤덮이는 섬이라 하여 백령(白翎)이라 하였을 터. ‘곡’ 자가 나타내듯이 이 섬은 온갖 철새들의 낙원이었고, 특히 고니가 많이 살았다. 바다에 배를 띄우고 멀리 나가서 보면 섬 전체가 모두 날개로 덮인 듯하다.

고니는 언제 보아도 흰빛을 띠고 날아든다. 바탕이 아름다운 것은 꾸미지 않아도 아름답다. 해서 ‘고니는 멱을 감지 않아도 희다’(鵠不浴而白)라는 말이 생겼다. 고니가 울 때 ‘곡곡’(鵠鵠) 하며 운다고 했다. 곡(鵠)의 반절식 한자의 소리는 ‘고’(姑沃切)였으니 ‘곡곡-고고’가 됨을 알겠다. 오늘날의 중국 한자음으로는 ‘구구’가 되지만. 그러니까 곡곡은 ‘고고’로 소리를 내야 옳다. 하면 고니는 고고 하고 우는 새라 하여 그리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 꾀꼬리나 뜸부기 혹은 방울새도 녀석들이 우는 소리를 따서 새의 이름으로 삼는 일이 있으니 그러하다.

고니는 흔히 백조라 부른다. 진도에 가면 바닷가에서 겨울을 난다. 고니가 날아드는 장소는 진도 수유리 일원의 담수호다. 이곳은 천연기념물 101호로 지정되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고니가 많이 찾아들면 좋은 세월이 된다는데.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28
2226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84
2225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586
222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2223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0
2222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90
2221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1
2220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599
221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01
221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02
2217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603
2216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605
2215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6
2214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609
2213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14
2212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5
2211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18
2210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20
2209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4
2208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28
2207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31
2206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1
2205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