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29 08:34

고니

조회 수 9895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니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령도는 곡도(鵠島), 곧 고니섬이었다. 고구려의 땅이었으며 뒤로 오면서 고려 태조가 하얀 고니에 뒤덮이는 섬이라 하여 백령(白翎)이라 하였을 터. ‘곡’ 자가 나타내듯이 이 섬은 온갖 철새들의 낙원이었고, 특히 고니가 많이 살았다. 바다에 배를 띄우고 멀리 나가서 보면 섬 전체가 모두 날개로 덮인 듯하다.

고니는 언제 보아도 흰빛을 띠고 날아든다. 바탕이 아름다운 것은 꾸미지 않아도 아름답다. 해서 ‘고니는 멱을 감지 않아도 희다’(鵠不浴而白)라는 말이 생겼다. 고니가 울 때 ‘곡곡’(鵠鵠) 하며 운다고 했다. 곡(鵠)의 반절식 한자의 소리는 ‘고’(姑沃切)였으니 ‘곡곡-고고’가 됨을 알겠다. 오늘날의 중국 한자음으로는 ‘구구’가 되지만. 그러니까 곡곡은 ‘고고’로 소리를 내야 옳다. 하면 고니는 고고 하고 우는 새라 하여 그리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 꾀꼬리나 뜸부기 혹은 방울새도 녀석들이 우는 소리를 따서 새의 이름으로 삼는 일이 있으니 그러하다.

고니는 흔히 백조라 부른다. 진도에 가면 바닷가에서 겨울을 난다. 고니가 날아드는 장소는 진도 수유리 일원의 담수호다. 이곳은 천연기념물 101호로 지정되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고니가 많이 찾아들면 좋은 세월이 된다는데.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68
774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20
773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59
»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95
77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24
77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700
769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35
768 넘어는 동작, 너머는 공간 바람의종 2009.11.23 6760
767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9
766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15
765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바람의종 2009.11.19 7619
764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515
763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55
762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75
761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53
76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78
759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77
758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10000
757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618
756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421
755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27
754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50
753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