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15 03:58

담비

조회 수 1075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담비

어릴 적 ‘호랑이 잡는 담비’라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다. 정말 담비가 호랑이를 대적할 수 있을까. 일대일 싸움에서 담비는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기 일쑤다. 무슨 말인가. 호랑이가 잡아먹히다니.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담비는 홀로 다니는 일이 없다. 우두머리가 움직이는 대로 한 무리의 담비들이 따라다닌다. 죽음과 삶을 함께한다는 말이다. 우두머리가 덤비면 나머지 담비들도 죽든 살든 떼로 덤벼든다. 그러니 호랑인들 무슨 수가 있겠는가.

더러 ‘문둥이 담부 떼 같다’고 한다. 이들이 몰려다닌 까닭은 사람들이 싫어함은 물론이고 홀로 다니다 어떤 어려움을 당할지 몰라서다. 담부는 담비의 경상도 지역 사투리다. 담비는 언제나 떼로 몰려다님을 드러낸다.

담비의 꼬리는 길고 끝이 가는데다 몸과 꼬리의 털은 촘촘하며 부드럽고 광택이 있어서 예로부터 고급 털가죽으로 쓰였다. 더러는 벼슬하는 이들의 모자에 담비 꼬리를 꽂아 그 품새를 드러내기도 했다. 많은 관원들이 담비 꼬리를 쓰려고 했기에 나중엔 개 꼬리로 담비 꼬리를 대신했다. 해서 생긴 말이 ‘개 꼬리로 담비를 잇는다’(狗尾續貂)는 것이다.

미루어 보건대, 담비는 떼로 몰려들어 공격하는 ‘덤벼듦’이라는 말샘에서 비롯한다. ‘덤비-담비’는 모음이 서로 바뀌어 나는 소리로 말미암음을 가늠할 수 있기에 그러하다. 흩어지면 죽음의 덫이 기다리고 있을지니.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93
1918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305
1917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305
191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315
1915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7
1914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318
1913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21
1912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1911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910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24
1909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4
1908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5
1907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0
1906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36
1905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39
190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41
1903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41
1902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42
1901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44
1900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48
1899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348
1898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55
1897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