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10 15:11

눈사리

조회 수 961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사리

중종 22년(1527년), 남평에 있는 절의 머슴 ‘눈쇠’(目隱金)가 ‘꽃계집’(花妻) ‘복덕이’를 때려죽였다. 조선 때 ‘죽을죄인’에게 마지막 판결을 내리기 전에 임금께 결재(계문)를 올리던 제도가 있었는데 이를 ‘계복’이라고 한다. 계복은 세 차례에 걸쳐 이뤄지며 추분이 지나 시월에 행하였다. 대신과 육조판서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의견을 들은 뒤 임금이 최종 판결을 내렸다.

눈은 빛을 받아 물체를 보는 기관이다. 더해진 뜻에 시력, 사물을 보는 태도, 눈금도 이르고, 그물코 사이 구멍, 가죽신의 코와 뒤울의 꾸밈새, 바둑판 줄이 만나는 곳도 눈이라고 한다. 풀이나 나무에서 돋아나는 꽃눈·잎눈도 있다. 이에 하늘에서 내리는 눈도 더해진다. ‘눈’(目隱/目/雪)이 든 이름에 ‘눈이·눈가이/눈개·눈동이·눈비·눈사리·눈쇠·눈졀이·눈지·눈이·왕눈이’가 있다. 눈이 크거나 내리는 눈처럼 하얘서 붙인 이름일까? 눈살은 눈썹 사이 잡히는 주름이다. ‘눈사리’(雪沙里)는 눈이 오면 아주 나가 살았나 보다.

눈은 마음의 거울이라 했던가? 감동을 받았을 때도 눈물이 난다. 감동 없는 사회는 사막이다. 겁 많은 왕눈이, 눈이 고운 눈졀이를 비롯해 모두가 서로 감동인 사회, 조금 덜 먹고살아도 먹은 게 모두 살로 가는 사회, 하여 사람들의 눈이 맑게 빛나는 사회는 참으로 살맛나는 세상이리라.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50
774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08
773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9
772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73
77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92
77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74
769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15
768 넘어는 동작, 너머는 공간 바람의종 2009.11.23 6747
767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5
766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00
765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바람의종 2009.11.19 7619
764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509
763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53
762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52
761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47
76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759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5
758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92
»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612
756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80
755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19
754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36
753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