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9 01:31

‘첫 참석’

조회 수 897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 참석’

“동의대사건 20년 만에 경찰청장 추도식 첫 참석”. 신문 기사의 제목이다. 이 제목의 문장 구조를 살펴보면, 주어는 ‘경찰청장’이고 ‘동의대사건 20년 만에’와 ‘추도식’은 부사어다. 이 문장을 축약하기 전의 완성형 문장으로 되돌려 보면 “동의대사건 20년 만에 경찰청장이 추도식에 첫 참석했다”로 될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참석했다’라는 동사를 ‘첫’이라는 관형사가 꾸미고 있기 때문이다. ‘관형사’는 어떤 경우에도 동사를 꾸미지 못한다. 당연히 ‘처음’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식의 문장 구조는 신문 제목에서 일반화되어 있다. 어느 특정 신문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신문이 이런 식으로 쓰고 있다. 제목의 마지막 단어 ‘참석’이 동사가 아니라 명사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참석’이 명사이므로 관형사 ‘첫’을 쓰는 것이 옳다는 식으로. 그렇다면 ‘동의대사건 20년 만에’라는 부사구는 대체 어디에 걸리는 말인가? ‘참석’이 명사라면 이 부사구는 설 자리가 없다. ‘참석’은 동사의 어근이다. 따라서 ‘처음 참석’으로 해야 반듯하다.

‘첫 참석을 했다’를 ‘첫 참석’으로 줄였다고 하는 것도 옹색하다. 명색이 신문 문장이 이렇게 뒤틀어진 꼴이어서야 되겠는가? “처음 참석했다”와 “첫 참석을 했다”를 비교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는 일이다. “첫 참석을 했다”라는 꼴은 억지로 갖다 맞춘 꼴이지 자연스런 우리말 문장이 아니다. -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82
163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8
1631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35
1630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629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32
1628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27
1627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25
162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21
162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6
1624 단골집 風磬 2006.11.06 8514
162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1
1622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10
1621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1620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7
1619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04
1618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0
1617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498
1616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97
1615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2
1614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0
1613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487
161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83
1611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