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9 01:31

‘첫 참석’

조회 수 904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 참석’

“동의대사건 20년 만에 경찰청장 추도식 첫 참석”. 신문 기사의 제목이다. 이 제목의 문장 구조를 살펴보면, 주어는 ‘경찰청장’이고 ‘동의대사건 20년 만에’와 ‘추도식’은 부사어다. 이 문장을 축약하기 전의 완성형 문장으로 되돌려 보면 “동의대사건 20년 만에 경찰청장이 추도식에 첫 참석했다”로 될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참석했다’라는 동사를 ‘첫’이라는 관형사가 꾸미고 있기 때문이다. ‘관형사’는 어떤 경우에도 동사를 꾸미지 못한다. 당연히 ‘처음’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식의 문장 구조는 신문 제목에서 일반화되어 있다. 어느 특정 신문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신문이 이런 식으로 쓰고 있다. 제목의 마지막 단어 ‘참석’이 동사가 아니라 명사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참석’이 명사이므로 관형사 ‘첫’을 쓰는 것이 옳다는 식으로. 그렇다면 ‘동의대사건 20년 만에’라는 부사구는 대체 어디에 걸리는 말인가? ‘참석’이 명사라면 이 부사구는 설 자리가 없다. ‘참석’은 동사의 어근이다. 따라서 ‘처음 참석’으로 해야 반듯하다.

‘첫 참석을 했다’를 ‘첫 참석’으로 줄였다고 하는 것도 옹색하다. 명색이 신문 문장이 이렇게 뒤틀어진 꼴이어서야 되겠는가? “처음 참석했다”와 “첫 참석을 했다”를 비교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는 일이다. “첫 참석을 했다”라는 꼴은 억지로 갖다 맞춘 꼴이지 자연스런 우리말 문장이 아니다. -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7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4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162
1896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94
1895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1894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397
1893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405
1892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405
1891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408
1890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409
1889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1888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14
1887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415
1886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7
1885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18
188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1883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422
1882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424
1881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25
1880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425
1879 마누라 風磬 2006.11.26 8427
1878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28
1877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430
1876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39
1875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