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8 19:22

독수리

조회 수 1104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독수리

“가락국기에, 수로왕 3년 완하국 함달왕의 아들 탈해가 가락국의 왕위를 뺏으려 가락에 오니 수로왕이 거절하고, 탈해와 도술로써 시합을 하는데 그가 매면 왕은 독수리가 되고 그가 참새가 되면 왕은 새매로 변신하므로 탈해가 항복하고 달아나니 왕이 수군 500척을 내어 신라 경계까지 내쫓았다.”(삼국유사에서)

독수리는 매보다 한 수 위다. 힘이 있는 이가 그렇지 못한 이를 앞서고 다스리게 된다. 이게 자연의 섭리이며 살아가는 모습이다. 어찌 보면 공평하지 않음이 대자연의 질서다. 얼핏 보기로 힘센 것이 반드시 강한 것만은 아니다. 낱개로 보면 메뚜기가 사자를 이길 수는 없다. 그러나 메뚜기 떼가 달려들면 잠자던 사자는 순간에 뼈만 앙상하게 남게 된다.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힘이 있는가를 한가지로 정의하기란 매우 어렵다.

독수리의 갈래로는 대머리독수리와 참수리, 검독수리와 흰꼬리수리, 흰목독수리와 흰죽지수리, 항라머리검독수리와 물수리가 있다. 날개를 폈을 때 약 1~3m에 이른다. 온몸이 어두운 갈색을 띠며, 뒷머리에는 엷은 암갈색의 부드럽고 긴 솜털이 있다.

독수리의 독은 대머리 독(禿)을 쓴다. 독수리의 생김새는 매나 수리와 비슷하고 뒷머리가 벗어지는 수가 많다. 한편 수리는 으뜸이란 뜻. 따라서 독수리란 ‘대머리 모양의 으뜸 새’다. 독수리가 되어 보고자 하는 열망이 우리의 영계를 날아다니고 있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88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189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98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4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08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39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27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5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4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45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34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4
18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4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68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58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4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14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5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10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