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8 19:19

무크(지)

조회 수 749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크(지)

책을 마음의 양식이라거나 인생의 영원한 스승이라고 한다. 흔히 가을이 책을 읽기에 가장 좋은 철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을에 감성이 가장 예민해진다는 뜻이지, 독서 자체가 가을에만 적합하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여름휴가 때도 얼마든지 책을 읽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크기에 따라 국판, 신국판, 사륙배판 등으로 나뉘고, 표지 형태에 따라서는 서양식으로 딱딱하게 표지를 만든 양장본과 전통적인 방식의 종이로 표지를 만든 지장본으로 나뉜다. 발행 방식과 내용 구성에 따라서는 단행본과 잡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내용과 부정기적인 발행 방식은 단행본과 별 차이가 없으나 편집 방법이나 책의 크기가 잡지와 유사한 형태가 있으니, 이를 ‘무크(지)’(mook紙)라 이른다.

‘무크’는 ‘잡지’를 뜻하는 ‘매거진’(magazine)과 ‘책’을 뜻하는 ‘북’(book)이 합쳐진 말이다. 어떤 기록을 보면 이 말은 일본에서 만들어졌는데(뭇쿠 ムック),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이 말 대신에 ‘매거북’(magabook), 또는 ‘부커진’(bookazine)이라고 한다.

무크지는 1970년대의 경제위기 때 선진국에서 출판 시장의 타개책으로 등장하였는데, 주로 컬러사진을 이용하며, 대개 시리즈물이나 기획물, 계간지에 자주 쓰인다. ‘부정기 간행물’로 순화되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89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64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16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16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36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26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36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5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586
2041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27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090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30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87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65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9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49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12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797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02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27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49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5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