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8 19:19

무크(지)

조회 수 749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크(지)

책을 마음의 양식이라거나 인생의 영원한 스승이라고 한다. 흔히 가을이 책을 읽기에 가장 좋은 철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을에 감성이 가장 예민해진다는 뜻이지, 독서 자체가 가을에만 적합하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여름휴가 때도 얼마든지 책을 읽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크기에 따라 국판, 신국판, 사륙배판 등으로 나뉘고, 표지 형태에 따라서는 서양식으로 딱딱하게 표지를 만든 양장본과 전통적인 방식의 종이로 표지를 만든 지장본으로 나뉜다. 발행 방식과 내용 구성에 따라서는 단행본과 잡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내용과 부정기적인 발행 방식은 단행본과 별 차이가 없으나 편집 방법이나 책의 크기가 잡지와 유사한 형태가 있으니, 이를 ‘무크(지)’(mook紙)라 이른다.

‘무크’는 ‘잡지’를 뜻하는 ‘매거진’(magazine)과 ‘책’을 뜻하는 ‘북’(book)이 합쳐진 말이다. 어떤 기록을 보면 이 말은 일본에서 만들어졌는데(뭇쿠 ムック),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이 말 대신에 ‘매거북’(magabook), 또는 ‘부커진’(bookazine)이라고 한다.

무크지는 1970년대의 경제위기 때 선진국에서 출판 시장의 타개책으로 등장하였는데, 주로 컬러사진을 이용하며, 대개 시리즈물이나 기획물, 계간지에 자주 쓰인다. ‘부정기 간행물’로 순화되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93
2050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204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62
2048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2047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59
2046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49
2045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43
2044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41
2043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1
2042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38
204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7
2040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36
2039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30
2038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28
2037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28
2036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27
2035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26
2034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25
2033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5
2032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24
2031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21
2030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20
2029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