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8 19:19

무크(지)

조회 수 752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크(지)

책을 마음의 양식이라거나 인생의 영원한 스승이라고 한다. 흔히 가을이 책을 읽기에 가장 좋은 철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을에 감성이 가장 예민해진다는 뜻이지, 독서 자체가 가을에만 적합하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여름휴가 때도 얼마든지 책을 읽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크기에 따라 국판, 신국판, 사륙배판 등으로 나뉘고, 표지 형태에 따라서는 서양식으로 딱딱하게 표지를 만든 양장본과 전통적인 방식의 종이로 표지를 만든 지장본으로 나뉜다. 발행 방식과 내용 구성에 따라서는 단행본과 잡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내용과 부정기적인 발행 방식은 단행본과 별 차이가 없으나 편집 방법이나 책의 크기가 잡지와 유사한 형태가 있으니, 이를 ‘무크(지)’(mook紙)라 이른다.

‘무크’는 ‘잡지’를 뜻하는 ‘매거진’(magazine)과 ‘책’을 뜻하는 ‘북’(book)이 합쳐진 말이다. 어떤 기록을 보면 이 말은 일본에서 만들어졌는데(뭇쿠 ムック),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이 말 대신에 ‘매거북’(magabook), 또는 ‘부커진’(bookazine)이라고 한다.

무크지는 1970년대의 경제위기 때 선진국에서 출판 시장의 타개책으로 등장하였는데, 주로 컬러사진을 이용하며, 대개 시리즈물이나 기획물, 계간지에 자주 쓰인다. ‘부정기 간행물’로 순화되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58
2688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90
2687 단도리, 잡도리, 당조짐 바람의종 2010.08.05 14738
2686 다시방 바람의종 2010.08.05 10548
2685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929
2684 헷갈리는 받침 바람의종 2010.08.03 10737
2683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13
268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2
268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93
2680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43
2679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10
2678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889
2677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828
267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52
2675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62
2674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36
267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805
2672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05
2671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604
2670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264
2669 바다가재, 바닷가재 바람의종 2010.07.21 11753
2668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923
2667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