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8

바람직안해

조회 수 753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람직안해

‘아니하다’는 ‘아니(부사)+하다(동사)’로 이루어진 말이지만, 두 말이 녹아서 하나의 단어로 쓰인다. 이 말을 줄이면 ‘안하다’로, 더 줄이면 ‘않다’로 될 것 같은데, ‘안하다’는 하나의 단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안’은 부사이고 ‘하다’는 동사로서 띄어 써야 한다. 그러니까 ‘아니하다’의 준말은 ‘않다’ 하나만 인정한다. ‘아니하다’는 준말 ‘않다’와 함께 동사나 형용사의 어미 ‘-지’와 어울려 보조용언으로 많이 쓰인다. ‘밥을 먹지 아니한다’에서는 조동사, ‘날씨가 덥지 않다’에서는 보조형용사다.

‘아소 독주 바람직안해’. 일본 여당인 자민당의 총재 경선을 다룬 신문 기사 제목이다. 그런데 ‘바람직안하다’란 말은 없다. 아마도 ‘바람직하지 아니해’를 이렇게 줄였을 것이다. ‘바람직하지’에서 접미사 ‘-하지’를 잘라버리고 어근 ‘바람직’에다 보조형용사 ‘아니해’를 이은 형태로 보면 되겠다. 접미사 ‘-하지’를 잘라버린 건 용인될 수도 있을 것이다. 편집상의 제약 때문에 어떻게든 짧게 줄여야 하는 신문 기사의 제목이니 축약 자체를 탓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아니하다’의 준말로 인정하지 않는 ‘안하다’를 쓴 것은 어긋났다고 하겠다. ‘안해’는 ‘안하다’의 활용형이지, ‘아니하다’의 활용형은 아니다. 이런 경우에는 띄어 써서 ‘바람직 아니해’로 하든지, 한 자라도 더 줄여야 한다면 ‘바람직 않아’로 써야 반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12
1984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1983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71
1982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1
1981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12
1980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46
1979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55
1978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290
1977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10
1976 옴시레기 file 바람의종 2010.01.10 7172
1975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3
1974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36
1973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05
1972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5
1971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6
1970 러닝셔츠 바람의종 2010.01.09 7659
1969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1968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28
1967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1966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52
1965 꼽다시 바람의종 2010.01.08 10557
1964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61
1963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