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8

바람직안해

조회 수 753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람직안해

‘아니하다’는 ‘아니(부사)+하다(동사)’로 이루어진 말이지만, 두 말이 녹아서 하나의 단어로 쓰인다. 이 말을 줄이면 ‘안하다’로, 더 줄이면 ‘않다’로 될 것 같은데, ‘안하다’는 하나의 단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안’은 부사이고 ‘하다’는 동사로서 띄어 써야 한다. 그러니까 ‘아니하다’의 준말은 ‘않다’ 하나만 인정한다. ‘아니하다’는 준말 ‘않다’와 함께 동사나 형용사의 어미 ‘-지’와 어울려 보조용언으로 많이 쓰인다. ‘밥을 먹지 아니한다’에서는 조동사, ‘날씨가 덥지 않다’에서는 보조형용사다.

‘아소 독주 바람직안해’. 일본 여당인 자민당의 총재 경선을 다룬 신문 기사 제목이다. 그런데 ‘바람직안하다’란 말은 없다. 아마도 ‘바람직하지 아니해’를 이렇게 줄였을 것이다. ‘바람직하지’에서 접미사 ‘-하지’를 잘라버리고 어근 ‘바람직’에다 보조형용사 ‘아니해’를 이은 형태로 보면 되겠다. 접미사 ‘-하지’를 잘라버린 건 용인될 수도 있을 것이다. 편집상의 제약 때문에 어떻게든 짧게 줄여야 하는 신문 기사의 제목이니 축약 자체를 탓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아니하다’의 준말로 인정하지 않는 ‘안하다’를 쓴 것은 어긋났다고 하겠다. ‘안해’는 ‘안하다’의 활용형이지, ‘아니하다’의 활용형은 아니다. 이런 경우에는 띄어 써서 ‘바람직 아니해’로 하든지, 한 자라도 더 줄여야 한다면 ‘바람직 않아’로 써야 반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01
1984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34
1983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33
1982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8
1981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28
1980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24
1979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20
1978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9
1977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318
197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15
1975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14
1974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9
197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09
1972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05
1971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04
1970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00
1969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1968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297
1967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6
1966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4
1965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293
1964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8
1963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