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6

박쥐

조회 수 980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

전통 장신구 가운데 박쥐노리개가 있다.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부녀자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이른다. 언제부터 노리개를 차기 시작했을까. 정확한 연대는 알기 어렵다. 신라 때 허리띠에 달던 요패나, 고려 때 허리띠에 금방울이나 향료를 넣은 비단주머니를 차던 풍습이 조선에 와서 노리개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박쥐의 ‘박’은 복(福)과 소리가 비슷하다. 오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박쥐 모양의 노리개나 박쥐 문양을 넣은 노리개를 많이 달았다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는 고름에 거는 부분인 띳돈, 끈, 패물, 매듭, 술로 이루어진다. 노리개는 다는 패물의 갈래와 크기에 따라 평복용과 예복용으로 가름한다. 패물의 갈래는 모양, 술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대삼작, 상류층에서 즐겨 차던 중삼작, 보통의 젊은 처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소삼작이 있다.

박쥐의 생태를 돌아보면, 박쥐는 ‘밝쥐’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높다. 박쥐는 밤을 낮 삼아 날아다닌다. 때로는 새처럼, 더러는 쥐처럼 살아간다. 그러니까 ‘밤눈이 밝다’에서 밤눈이 밝은 쥐, 다시 ‘밝쥐’로, 다시 ‘박쥐’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이는 박혁거세가 불거내(弗炬內), 곧 ‘밝은 누리’의 ‘밝’에서 ‘박’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와 같다. 박쥐가 초음파로 지형과 대상의 움직임을 알아서 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뒤의 일이다. 본디 소리는 보이지 않는 빛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12
187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4
187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903
1872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97
1871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2017
1870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32
1869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29
1868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89
1867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601
1866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4
1865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108
1864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70
1863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97
1862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64
1861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38
1860 여우비 바람의종 2009.05.26 6852
1859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74
1858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1857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7
1856 껍질, 껍데기 바람의종 2009.05.28 10689
1855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바람의종 2009.05.28 14170
1854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1853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