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6

박쥐

조회 수 980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

전통 장신구 가운데 박쥐노리개가 있다.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부녀자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이른다. 언제부터 노리개를 차기 시작했을까. 정확한 연대는 알기 어렵다. 신라 때 허리띠에 달던 요패나, 고려 때 허리띠에 금방울이나 향료를 넣은 비단주머니를 차던 풍습이 조선에 와서 노리개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박쥐의 ‘박’은 복(福)과 소리가 비슷하다. 오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박쥐 모양의 노리개나 박쥐 문양을 넣은 노리개를 많이 달았다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는 고름에 거는 부분인 띳돈, 끈, 패물, 매듭, 술로 이루어진다. 노리개는 다는 패물의 갈래와 크기에 따라 평복용과 예복용으로 가름한다. 패물의 갈래는 모양, 술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대삼작, 상류층에서 즐겨 차던 중삼작, 보통의 젊은 처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소삼작이 있다.

박쥐의 생태를 돌아보면, 박쥐는 ‘밝쥐’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높다. 박쥐는 밤을 낮 삼아 날아다닌다. 때로는 새처럼, 더러는 쥐처럼 살아간다. 그러니까 ‘밤눈이 밝다’에서 밤눈이 밝은 쥐, 다시 ‘밝쥐’로, 다시 ‘박쥐’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이는 박혁거세가 불거내(弗炬內), 곧 ‘밝은 누리’의 ‘밝’에서 ‘박’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와 같다. 박쥐가 초음파로 지형과 대상의 움직임을 알아서 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뒤의 일이다. 본디 소리는 보이지 않는 빛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28
1258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61
1257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61
1256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65
1255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1254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872
1253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52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74
1251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74
1250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75
1249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7
1248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82
1247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82
1246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84
1245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86
1244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94
1243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97
1242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97
1241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8
1240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900
1239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901
123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2
1237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