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6

박쥐

조회 수 973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

전통 장신구 가운데 박쥐노리개가 있다.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부녀자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이른다. 언제부터 노리개를 차기 시작했을까. 정확한 연대는 알기 어렵다. 신라 때 허리띠에 달던 요패나, 고려 때 허리띠에 금방울이나 향료를 넣은 비단주머니를 차던 풍습이 조선에 와서 노리개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박쥐의 ‘박’은 복(福)과 소리가 비슷하다. 오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박쥐 모양의 노리개나 박쥐 문양을 넣은 노리개를 많이 달았다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는 고름에 거는 부분인 띳돈, 끈, 패물, 매듭, 술로 이루어진다. 노리개는 다는 패물의 갈래와 크기에 따라 평복용과 예복용으로 가름한다. 패물의 갈래는 모양, 술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대삼작, 상류층에서 즐겨 차던 중삼작, 보통의 젊은 처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소삼작이 있다.

박쥐의 생태를 돌아보면, 박쥐는 ‘밝쥐’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높다. 박쥐는 밤을 낮 삼아 날아다닌다. 때로는 새처럼, 더러는 쥐처럼 살아간다. 그러니까 ‘밤눈이 밝다’에서 밤눈이 밝은 쥐, 다시 ‘밝쥐’로, 다시 ‘박쥐’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이는 박혁거세가 불거내(弗炬內), 곧 ‘밝은 누리’의 ‘밝’에서 ‘박’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와 같다. 박쥐가 초음파로 지형과 대상의 움직임을 알아서 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뒤의 일이다. 본디 소리는 보이지 않는 빛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1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6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533
77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54
769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461
768 넘어는 동작, 너머는 공간 바람의종 2009.11.23 6738
767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1
766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32
765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바람의종 2009.11.19 7570
764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37
763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32
762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19
761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31
76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18
759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37
758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74
757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70
756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203
755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864
754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09
753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484
752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893
751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877
750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488
»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