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6

박쥐

조회 수 978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

전통 장신구 가운데 박쥐노리개가 있다.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부녀자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이른다. 언제부터 노리개를 차기 시작했을까. 정확한 연대는 알기 어렵다. 신라 때 허리띠에 달던 요패나, 고려 때 허리띠에 금방울이나 향료를 넣은 비단주머니를 차던 풍습이 조선에 와서 노리개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박쥐의 ‘박’은 복(福)과 소리가 비슷하다. 오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박쥐 모양의 노리개나 박쥐 문양을 넣은 노리개를 많이 달았다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는 고름에 거는 부분인 띳돈, 끈, 패물, 매듭, 술로 이루어진다. 노리개는 다는 패물의 갈래와 크기에 따라 평복용과 예복용으로 가름한다. 패물의 갈래는 모양, 술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대삼작, 상류층에서 즐겨 차던 중삼작, 보통의 젊은 처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소삼작이 있다.

박쥐의 생태를 돌아보면, 박쥐는 ‘밝쥐’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높다. 박쥐는 밤을 낮 삼아 날아다닌다. 때로는 새처럼, 더러는 쥐처럼 살아간다. 그러니까 ‘밤눈이 밝다’에서 밤눈이 밝은 쥐, 다시 ‘밝쥐’로, 다시 ‘박쥐’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이는 박혁거세가 불거내(弗炬內), 곧 ‘밝은 누리’의 ‘밝’에서 ‘박’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와 같다. 박쥐가 초음파로 지형과 대상의 움직임을 알아서 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뒤의 일이다. 본디 소리는 보이지 않는 빛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71
1962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64
1961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63
1960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59
1959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58
1958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56
1957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4
1956 바람의종 2012.07.27 9252
1955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49
1954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245
1953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244
1952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43
1951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243
1950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40
1949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948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38
1947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37
1946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35
1945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4
1944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34
1943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3
1942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32
1941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