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8 19:51

살코기

조회 수 761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살코기

중세 우리말 가운데 임자씨(체언)가 홀소리로 시작하는 토씨와 이어질 때 ‘ㅎ’이 덧붙는 낱말들이 있었다. 이 낱말들은 또 거센소리가 될 수 있는 ‘ㄱ’, ‘ㄷ’, ‘ㅂ’ 앞에서는 ‘ㅋ’, ‘ㅌ’, ‘ㅍ’이 되었다. 이런 낱말들을 ‘ㅎ종성체언’이라고 한다. ‘ㅎ개입체언’ 또는 ‘ㅎ 토를 취하는 특수체언’이라고도 한다. 덧붙는 ㅎ을 앞말의 끝소리로 보느냐, 사잇소리로 보느냐, 뒷말의 첫소리로 보느냐에 따라 용어가 갈리었다고 하겠다.

‘뼈를 발라낸 살코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한 보도에서 자주 보이는 구절이다. ‘살코기’는 ‘살+고기’로 된 합성어인데, ‘고’가 ‘코’로 되었다. 중세 ‘ㅎ종성체언’의 영향이 현대어에도 나타나는 것이다. ‘암/수’, ‘머리’, ‘안’, ‘살’이 그런 낱말들이다. 이것들이 일정한 음운환경에서 합성어를 이루면서 ‘ㅎ’이 덧붙어 ‘암탉(닭)’, ‘수퇘지(돼지)’, ‘머리카락(가락)’, ‘안팎(밖)’, ‘살코기(고기)’가 된다.

<표준어 규정>에는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고 되어 있지만, 예외도 두고 있어 상당히 복잡하다.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이렇게 아홉 낱말은 거센소리를 인정하고, 나머지 낱말들은 원래의 꼴대로 적는다. 다만 ‘숫양, 숫염소, 숫쥐’는 예외적으로 ‘숫-’으로 한다. 개는 ‘수캐’로 하면서 고라니는 ‘수고라니’로 하니 일관성도 없다. 낱낱이 외울 수밖에 없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6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04
1874 께, 쯤, 가량, 무렵, 경 바람의종 2009.11.03 12156
1873 늘상, 노상, 천상, 천생 바람의종 2009.11.03 14122
1872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36
1871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16
1870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68
1869 전향적? 바람의종 2009.10.28 11004
186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86
1867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866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00
1865 무료와 공짜 바람의종 2009.10.27 8776
1864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53
1863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507
1862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8074
1861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57
1860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44
1859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78
1858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81
1857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55
»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613
1855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96
1854 너비, 넓이 바람의종 2009.10.07 10803
1853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4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