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7 17:28

팔색조

조회 수 808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팔색조

“아열대와 열대 숲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푸른날개팔색조’가 5월30일 마라도 해송 숲에서 국내 처음으로 발견됐다.”(<한겨레> 2009년 6월9일)

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도 지회가 해마다 하는 철새 정기조사에서 팔색조가 마라도에 살고 있음을 알린 기사다. 팔색조는 겁이 많고 고독을 좋아하는 새다. 홀로 땅 위를 깡충깡충 뛰는 듯이 다니며 땅속의 지렁이 같은 먹이를 잡아먹고 둥우리로 먹이를 가져와서 새끼를 기른다. 부리와 발로는 땅속의 지렁이와 딱정벌레 등을 찾아낸다. 시냇가에서 더러 골짜기로 드리워진 나뭇가지에 앉아 쉬기를 즐긴다. 그러면서도 적을 피해 언제나 소리 없이 움직인다. 몸짓은 놀라우리만치 빠르다. 위험을 느꼈을 때는 숲을 멀리 벗어나 숲 위를 날아돌 때도 있고, 때로는 사람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오기도 한다.



울음소리는 닭 울음처럼 멀리까지 잘 들린다. 날씨와 바람에 따라서는 10리 밖까지도 간다. 짝짓기 철이 되면 ‘호객·호객’ 하고 암수가 자주 울며 한 마리가 울면 이와 함께 다른 녀석의 메아리로 울려 퍼진다. 여덟 가지 색을 갖추었다고 그리 불렀을 터. 병아리 적에는 좀처럼 울음소리를 내지 않으며 이때 간혹 내는 울음소리는 암수 구별이 쉽다. 암컷의 울음소리는 수컷의 소리보다 흐려지고 깨진 소리가 섞여 들린다. 자연도태론의 새 연구가인 월리스는 알록달록하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라고 했다. 우리보고 아름답게 살아가라고 찾아온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02
187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34
1873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434
1872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435
1871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9
187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47
1869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453
1868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55
1867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57
1866 방송 용어 바람의종 2010.03.05 8457
1865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61
1864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62
1863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463
1862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463
186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70
1860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471
1859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858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485
185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86
1856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7
1855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1854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93
1853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