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6 16:09

발발아

조회 수 629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발아

사람이름을 다룬 논문을 살피면 성격을 나타낸 이름으로 ‘발발아’를 들곤 한다. ‘발바리’를 연상한 나누기로 생각된다. 문헌을 살피면 전혀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순조 1년, 신유사옥이 있었다. 포도청에서 죄인들을 형조로 옮기고 결안(사형할 죄로 결정한 문서)을 바쳤다. 강성의 노파 완숙은 ‘사특한 책’(성경)에 물들어 아비 홍지영에게 내쫓겼으며 아들 홍필주를 데리고 서울로 와 주문모를 받들고 갈륭파(골롬바)라는 이름을 받았다. 강씨 딸 경복은 폐궁의 나인으로 ‘선아’(수산나), 윤씨 딸 점혜는 ‘아가대’(아가다), 궁인인 영인은 ‘비비아라’(비비아나), 순매는 ‘발발아’(바르바라)라는 이름을 주문모에게 받았다. 지금으로 말하면 ‘발발아’는 세례명 ‘바르바라’였던 셈이다. 조선 후기로 들어서면서 세례명이긴 하나 사람이름에서 유럽 문명과 접속되기 시작하였다.

사람이름에 ‘야랑덕이·야랑쇠·야랑쥰이’도 보인다. 밑말 ‘야랑’은 무엇일까? 야인 이름에 ‘야랑개/야랑가’와 같은 이름에서 ‘야랑’이 밑말로 쓰이고 있다. 사람이름 ‘미라로·미마이·사구리’는 일본 사람 이름으로 보인다. ‘망내’는 야인지역·한반도·일본열도에 걸쳐 쓰인 사람이름이다.

낯선 사람이름이 적잖다. 그중에는 향화인(귀화인)의 이름도 있다. 사람이름의 공간 및 시대 분포는 사람과 문화의 드나듦을 보여주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38
1874 께, 쯤, 가량, 무렵, 경 바람의종 2009.11.03 12176
1873 늘상, 노상, 천상, 천생 바람의종 2009.11.03 14128
1872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45
1871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35
1870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73
1869 전향적? 바람의종 2009.10.28 11018
186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828
1867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866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05
1865 무료와 공짜 바람의종 2009.10.27 8784
1864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59
1863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514
1862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8097
1861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60
1860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50
1859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90
1858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90
1857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58
1856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613
1855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502
1854 너비, 넓이 바람의종 2009.10.07 10818
1853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