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6 16:09

발발아

조회 수 625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발아

사람이름을 다룬 논문을 살피면 성격을 나타낸 이름으로 ‘발발아’를 들곤 한다. ‘발바리’를 연상한 나누기로 생각된다. 문헌을 살피면 전혀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순조 1년, 신유사옥이 있었다. 포도청에서 죄인들을 형조로 옮기고 결안(사형할 죄로 결정한 문서)을 바쳤다. 강성의 노파 완숙은 ‘사특한 책’(성경)에 물들어 아비 홍지영에게 내쫓겼으며 아들 홍필주를 데리고 서울로 와 주문모를 받들고 갈륭파(골롬바)라는 이름을 받았다. 강씨 딸 경복은 폐궁의 나인으로 ‘선아’(수산나), 윤씨 딸 점혜는 ‘아가대’(아가다), 궁인인 영인은 ‘비비아라’(비비아나), 순매는 ‘발발아’(바르바라)라는 이름을 주문모에게 받았다. 지금으로 말하면 ‘발발아’는 세례명 ‘바르바라’였던 셈이다. 조선 후기로 들어서면서 세례명이긴 하나 사람이름에서 유럽 문명과 접속되기 시작하였다.

사람이름에 ‘야랑덕이·야랑쇠·야랑쥰이’도 보인다. 밑말 ‘야랑’은 무엇일까? 야인 이름에 ‘야랑개/야랑가’와 같은 이름에서 ‘야랑’이 밑말로 쓰이고 있다. 사람이름 ‘미라로·미마이·사구리’는 일본 사람 이름으로 보인다. ‘망내’는 야인지역·한반도·일본열도에 걸쳐 쓰인 사람이름이다.

낯선 사람이름이 적잖다. 그중에는 향화인(귀화인)의 이름도 있다. 사람이름의 공간 및 시대 분포는 사람과 문화의 드나듦을 보여주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95
1962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38
1961 바람의종 2012.07.27 9237
1960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233
195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1
1958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29
1957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27
1956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27
1955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24
195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21
1953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21
1952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19
1951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05
1950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04
1949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03
194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199
1947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197
1946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197
194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195
1944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192
1943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188
1942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87
1941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