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6 16:07

날래 가라우!

조회 수 840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래 가라우!

표준어 ‘빨리’에 대응하는 ‘싸게’가 주로 남녘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라면, ‘날래’는 주로 북녘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날래’는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이 나는 듯이 빠르다’라는 뜻을 갖는 형용사 ‘날래다’의 말뿌리 ‘날래’가 부사로 쓰인 것이다. ‘날래’는 주로 북녘에서 쓰이기 때문에 남녘의 사전에는 고장말 즉 ‘방언’으로 올라 있지만, 북녘의 사전에는 ‘문화어’로 실려 있다. 즉 북녘에서 ‘날래’는 남녘의 표준어와 같은 자격을 갖는 말이다. “날래 데리구 들어가서 뭘 좀 먹이오.”(<영원한 미소>, 김수범·북녘 작가) “할마니 오래간만이우다. 날래 둘오시라우요.”(<한국구전문학대계> 평안편) 또한 ‘날래’는 재중 동포들 사이에서도 널리 쓰이는 말이다. “날래 콱 채우구 다신 어른거리지(얼씬거리지) 맙소!”(<어랑할미백세 일화>, 리혜선·재중 동포 작가)

‘날래’의 또다른 형태는 ‘낼래’인데, ‘날래>낼래’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서 주로 함경도에서 쓰인다. 이는 고장말에서 ‘담배’를 ‘댐배’로 발음하는 것과 같은 경우다.

남녘에서 ‘싸게’가 중첩된 형태 ‘싸게싸게’가 ‘빨리빨리’의 의미로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녘에서도 ‘날래’가 중첩된 ‘날래날래’가 ‘빨리빨리’의 의미로 사용된다. “아아 되게 귀찮군, 좋소 졸려죽겠으니 날래날래 물어보시오.”(<육이오>, 홍성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9
1632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42
1631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39
1630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39
1629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628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34
1627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27
162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27
162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23
1624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21
1623 단골집 風磬 2006.11.06 8518
162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17
1621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12
1620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511
1619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11
1618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1
1617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1616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01
1615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1
1614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495
1613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94
1612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493
1611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