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2 08:50

이모작

조회 수 849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모작

여름에는 벼농사를 짓고, 겨울에는 보리농사를 짓는 것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논농사였다. 같은 경작지에서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것이다. 밭에서도 돌려짓기를 했다. 인삼 같은 작물은 파종에서 수확까지 여러 해가 걸리지만, 작물에 따라서는 한 해에 세 번까지도 돌려짓기를 할 수 있다. 같은 경작지에서 한 해에 두 번 씨 뿌리고 두 번 거두는 것을 ‘이모작’(二毛作)이라 한다. ‘양그루’ 또는 ‘그루갈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이모작은 한 해에 같은 경작지에다 벼-보리처럼 다른 작물을 돌려 지을 때 쓰는 말이고, 같은 작물을 두 번 이어 지을 때는 ‘이기작’(二期作)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한 해에 같은 논에다 두 번 벼농사를 지으면 이기작이다. 경작기간이 짧은 올벼를 심으면 우리나라에서도 이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일자리 만들기 나누기 인생 2모작’. 한 신문 기획 시리즈에 나오는 말이다. 한창나이인데, 구조조정이니 명예퇴직이니 하는 데 걸려 직장에서 나온 사람들이 ‘사오정’이나 ‘오륙도’로 남지 않고 경력을 살려 재취업 기회를 찾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기사에서는 ‘재취업’에 해당하는 말로 ‘이모작’이란 말을 끌어다 썼다. 그런데 왜 이기작이 아니고 이모작일까? 속마음이야 젊은 사람들 못지않게, 오히려 더 잘할 자신이 있겠지만, 이기작이 아니라 이모작이라고 해서 자신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벼농사였다면, 앞으로는 보리농사라도 짓겠다는 겸손한 마음을 표현한 것은 아닐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83
1676 대충 風磬 2006.11.06 8617
167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6
1674 호꼼마씸? file 바람의종 2010.03.07 8615
1673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672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613
1671 도레미파솔라시 바람의종 2010.01.27 8611
1670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11
1669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08
1668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4
1667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03
1666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3
1665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01
1664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98
1663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6
1662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92
1661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92
1660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91
1659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91
165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90
1657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90
1656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9
1655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