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2 08:50

이모작

조회 수 848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모작

여름에는 벼농사를 짓고, 겨울에는 보리농사를 짓는 것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논농사였다. 같은 경작지에서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것이다. 밭에서도 돌려짓기를 했다. 인삼 같은 작물은 파종에서 수확까지 여러 해가 걸리지만, 작물에 따라서는 한 해에 세 번까지도 돌려짓기를 할 수 있다. 같은 경작지에서 한 해에 두 번 씨 뿌리고 두 번 거두는 것을 ‘이모작’(二毛作)이라 한다. ‘양그루’ 또는 ‘그루갈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이모작은 한 해에 같은 경작지에다 벼-보리처럼 다른 작물을 돌려 지을 때 쓰는 말이고, 같은 작물을 두 번 이어 지을 때는 ‘이기작’(二期作)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한 해에 같은 논에다 두 번 벼농사를 지으면 이기작이다. 경작기간이 짧은 올벼를 심으면 우리나라에서도 이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일자리 만들기 나누기 인생 2모작’. 한 신문 기획 시리즈에 나오는 말이다. 한창나이인데, 구조조정이니 명예퇴직이니 하는 데 걸려 직장에서 나온 사람들이 ‘사오정’이나 ‘오륙도’로 남지 않고 경력을 살려 재취업 기회를 찾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기사에서는 ‘재취업’에 해당하는 말로 ‘이모작’이란 말을 끌어다 썼다. 그런데 왜 이기작이 아니고 이모작일까? 속마음이야 젊은 사람들 못지않게, 오히려 더 잘할 자신이 있겠지만, 이기작이 아니라 이모작이라고 해서 자신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벼농사였다면, 앞으로는 보리농사라도 짓겠다는 겸손한 마음을 표현한 것은 아닐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21
752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11
751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888
750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16
749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65
748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12
747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07
746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2
745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80
744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47
743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17
742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260
741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03
»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89
739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2
738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4
737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6
736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3
735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7
734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733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461
732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5
731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