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2 08:47

딱총새

조회 수 931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딱총새

“완만한 내리막길을 거쳐 평탄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오른쪽 숲에 하얀 꽃을 가득 피운 나무가 보인다. 찔레꽃인 모양이다. 아름다운 숲길이다. 딱총새라 했던가. 우는 소리가 ‘홀딱 벗고, 홀딱 벗고’ 한다더니, 과연 그렇게 들린다.”(‘한강기맥’ 종주기에서)

그럴듯한 발상이다. 새의 울음소리와 관련해 ‘홀딱’의 ‘딱’과 연상을 하여 다소 야한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이다. 임진왜란 때 왜군의 총을 흔히 조총(鳥銃)이라고 했다. 새나 잡는 딱총이라는 뜻이다. 당시의 상소문 가운데 왜군의 조총이 나온다. 조총은 능히 나는 새도 맞힐 수 있다는 풀이다. 활로 나는 새를 맞힐 정도가 되려면 여러 해를 수련한 무사가 아니면 어렵지만 조총은 약간의 훈련으로도 좋은 명중률을 보여줬기에 겁먹지 말라는 뜻에서 이렇게 이름을 붙인 것이다.

딱총새는 소나무에 둥지를 틀고 산다. 어느 때부터인가 자생적으로 자라난 콩구루벌레가 소나무 잎새를 말라 죽게 만들었다. 딱총새는 살 곳을 잃게 되고 차츰 사라져가는 어려움에 맞닥뜨리게 되었다. 딱한 신세가 되어버렸으니. 소리로 보아 딱총나무와는 무슨 걸림이 없을까. 딱총나무는 인동과의 나무로 속이 덜 차서 꺾으면 ‘딱’ 하고 총소리가 나기에 그리 부르게 되었다. 뼈가 부러졌을 적에 딱총나무로 약을 삼아 고친다. 해서 접골목이라고도 이른다. 말린 가지는 약으로 어린 잎은 식용으로 쓰기도 한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76
2006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460
2005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56
2004 -씩 바람의종 2010.01.23 9454
2003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50
2002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442
2001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440
2000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435
1999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33
1998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32
1997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31
1996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31
199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28
1994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419
199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414
1992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413
1991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409
1990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408
1989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8
1988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8
1987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404
198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403
1985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