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2

절거리

조회 수 851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절거리

내수사의 주거이(注巨伊)가 죄를 짓고 회령 관아로 가게 되었다. 어미가 임금께 글을 올렸다. ‘외아들로 형제가 없습니다. 그 고을에 곡식을 바칠 테니 풀어주셔서 이 늙은 여인을 봉양케 해주소서’ 하니 중종 임금이 허락했다.

‘주거이’는 중세 말 표기에서 ‘주게’에 해당한다. 비슷한 이름에 ‘주거·주거쇠’가 있고 ‘주거리’(注居里·住去里)도 있다. 밥 푸는 주걱은 15세기에 ‘’이었고 17세기에 ‘쥬게’, 18세기 들어서 ‘쥬걱’이 보인다. 요즘 말에서 ‘주걱턱·주게턱’이 함께 쓰이는 것은 이런 내림이다. ‘주거리’는 여자 이름으로, 경상권 호구단자에 나온다. 경상도 말에서 ‘주거리’는 ‘저고리’를 이르는 말이다.

‘저고리’는 고장말에서 ‘뎌구리·저거리·저구리·져구리·조거리·조고리·조구리·주구리’로도 말해진다. <성종실록>에 迪古里(적고리)라는 사람이 있다. 迪은 뒷시대에 돌쩌귀(乭迪耳)를 적을 때 쓰이나 중국 음을 고려하면 조선 전기에는 ‘뎍’으로, 迪古里는 ‘뎌고리’를 적었을 것으로 보인다. 뎌고리는 중세말로 ‘딱따구리’이다.

 포항 냉수리 삼면비는 신라 때 임금을 비롯한 대신들이 ‘절거리’(節居利)의 재산권에 대해 내린 판결문을 새긴 것이다. ‘절거리’의 내림에 ‘주거리’가 있는 듯하다. 야인 여인 이름에 ‘절구리’(節仇里)도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65
1852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59
1851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64
1850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66
1849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67
1848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68
1847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68
1846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468
184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69
1844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469
1843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72
1842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74
1841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5
1840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78
1839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2
183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83
1837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4
1836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6
1835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93
1834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97
1833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7
1832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98
1831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