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2

절거리

조회 수 85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절거리

내수사의 주거이(注巨伊)가 죄를 짓고 회령 관아로 가게 되었다. 어미가 임금께 글을 올렸다. ‘외아들로 형제가 없습니다. 그 고을에 곡식을 바칠 테니 풀어주셔서 이 늙은 여인을 봉양케 해주소서’ 하니 중종 임금이 허락했다.

‘주거이’는 중세 말 표기에서 ‘주게’에 해당한다. 비슷한 이름에 ‘주거·주거쇠’가 있고 ‘주거리’(注居里·住去里)도 있다. 밥 푸는 주걱은 15세기에 ‘’이었고 17세기에 ‘쥬게’, 18세기 들어서 ‘쥬걱’이 보인다. 요즘 말에서 ‘주걱턱·주게턱’이 함께 쓰이는 것은 이런 내림이다. ‘주거리’는 여자 이름으로, 경상권 호구단자에 나온다. 경상도 말에서 ‘주거리’는 ‘저고리’를 이르는 말이다.

‘저고리’는 고장말에서 ‘뎌구리·저거리·저구리·져구리·조거리·조고리·조구리·주구리’로도 말해진다. <성종실록>에 迪古里(적고리)라는 사람이 있다. 迪은 뒷시대에 돌쩌귀(乭迪耳)를 적을 때 쓰이나 중국 음을 고려하면 조선 전기에는 ‘뎍’으로, 迪古里는 ‘뎌고리’를 적었을 것으로 보인다. 뎌고리는 중세말로 ‘딱따구리’이다.

 포항 냉수리 삼면비는 신라 때 임금을 비롯한 대신들이 ‘절거리’(節居利)의 재산권에 대해 내린 판결문을 새긴 것이다. ‘절거리’의 내림에 ‘주거리’가 있는 듯하다. 야인 여인 이름에 ‘절구리’(節仇里)도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97
2710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91
2709 삼팔 따라지 바람의종 2008.02.24 10487
2708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412
2707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574
2706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94
2705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26
2704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329
2703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65
2702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6
2701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7047
2700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559
2699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37
2698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52
2697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305
2696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672
2695 육시랄 놈 바람의종 2008.02.29 18095
2694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97
2693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677
2692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648
2691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415
2690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752
2689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7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