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9 10:54

돌림꾼

조회 수 774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림꾼

언어예절

잘못을 저질렀다면 동네매를 맞아도 할 말이 없게 된다. 그게 아닐 때가 문제다.

따돌리지 않고 사는 방법은 없을까? 어렵지만 착하고 못나게 사는 일일 터이다. 그 정도라면 따돌림을 당해도 아마 참고 견디며 웃어넘길 수도 있겠다. 그래도 안 되면 힘겹지만 떼거리에 맞서는 수밖에 없다. 힘센 쪽은 작은 불이익도 참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 이른바 권력과 언론이 어떻게 한통속이 되어 왕따짓을 하는지를 밝히는 것도 한 방편이겠다. 도덕과 인간을 돌보지 못하게 하는 게 이익이다. 이익 앞에서 상대는 적이다. 적에게 이롭다면 나한텐 해롭다는 식이다.

이익 아닌 도덕을 택하기는 쉽지 않은데, 겸양과 헤아림에 생존이란 명분이 더해지면 큰 힘이 생긴다. 살아남는 일에서 수고로움을 따지는 것은 사치다. 비슷한 돌림쟁이 돌림꾼들이 뭉치는 것도 한 방편이겠다. 같이 대거리하고 맞서는 수단이 생긴다. 칼에는 칼, 법에는 법으로 갚는 데 손가락질할 사람은 없다.

 저마다 한울·한얼·부처 경지라면 모르되 돌림말을 상대하는 데는 역시 말글이 제격이다. 말글로 온전히 담아내기는 어렵지만 그보다 나은 방편도 드물다. 말 없는 따돌림이 더 무섭고 무시는 이보다 더하지만, 이를 풀고 이기는 데도 좋은 말글을 두고 달리 뭐가 있겠는가.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43
1852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59
1851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64
1850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465
1849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66
1848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67
1847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68
1846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68
184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69
1844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469
1843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72
1842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74
1841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5
1840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78
1839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2
183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83
1837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4
1836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6
1835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93
1834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97
1833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7
1832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98
1831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