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7 07:32

호르몬

조회 수 765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르몬

동물의 내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체액과 함께 체내를 순환하여 다른 기관이나 조직의 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통틀어 ‘호르몬’, 즉 내분비물이라 이른다. ‘호르몬’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원어가 영어 ‘hormone’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코너’(corner), ‘저먼’(German)과 같은 많은 예들을 보면 우리의 차용 습관으로 영어 ‘hormone’은 ‘호몬’으로 받아들였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왜 ‘호르몬’이라고 할까?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 추측이 가능하다.

먼저, 철자식 발음일 수 있다. 우리가 서구어를 처음 받아들일 때는 원어의 발음을 접하기 어려웠고 대신 인쇄물을 통해서 받아들였기 때문에 철자식 발음으로 된 외래어가 있다. ‘메달’(medal), ‘모델’(model)이 그런 예로 보인다.(일본어를 통해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둘째, 원어가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 ‘Hormon’일 수 있다. 독일어의 음절 끝에 오는 ‘r’를 우리가 ‘르’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arten’은 ‘가르텐’, ‘Dortmunt’는 ‘도르트문트’라고 한다. 셋째, 일본어 ‘호루몬’(ホルモン)이 들어와서 적절히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 세 가지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마도 세 번째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이를 증명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어원은 밝혀내기 어려운 것이고, 그래서 기록이 중요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87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297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326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385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433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918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487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291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751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74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224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349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887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860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500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545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987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4210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737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489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613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915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2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