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7 07:32

호르몬

조회 수 757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르몬

동물의 내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체액과 함께 체내를 순환하여 다른 기관이나 조직의 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통틀어 ‘호르몬’, 즉 내분비물이라 이른다. ‘호르몬’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원어가 영어 ‘hormone’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코너’(corner), ‘저먼’(German)과 같은 많은 예들을 보면 우리의 차용 습관으로 영어 ‘hormone’은 ‘호몬’으로 받아들였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왜 ‘호르몬’이라고 할까?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 추측이 가능하다.

먼저, 철자식 발음일 수 있다. 우리가 서구어를 처음 받아들일 때는 원어의 발음을 접하기 어려웠고 대신 인쇄물을 통해서 받아들였기 때문에 철자식 발음으로 된 외래어가 있다. ‘메달’(medal), ‘모델’(model)이 그런 예로 보인다.(일본어를 통해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둘째, 원어가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 ‘Hormon’일 수 있다. 독일어의 음절 끝에 오는 ‘r’를 우리가 ‘르’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arten’은 ‘가르텐’, ‘Dortmunt’는 ‘도르트문트’라고 한다. 셋째, 일본어 ‘호루몬’(ホルモン)이 들어와서 적절히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 세 가지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마도 세 번째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이를 증명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어원은 밝혀내기 어려운 것이고, 그래서 기록이 중요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51
1852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75
1851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476
1850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78
1849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80
184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84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83
1846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84
1845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5
1844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1843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88
1842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9
1841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93
1840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93
1839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96
183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97
1837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97
1836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9
1835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00
183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501
1833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502
1832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511
1831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