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7 07:32

호르몬

조회 수 753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르몬

동물의 내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체액과 함께 체내를 순환하여 다른 기관이나 조직의 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통틀어 ‘호르몬’, 즉 내분비물이라 이른다. ‘호르몬’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원어가 영어 ‘hormone’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코너’(corner), ‘저먼’(German)과 같은 많은 예들을 보면 우리의 차용 습관으로 영어 ‘hormone’은 ‘호몬’으로 받아들였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왜 ‘호르몬’이라고 할까?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 추측이 가능하다.

먼저, 철자식 발음일 수 있다. 우리가 서구어를 처음 받아들일 때는 원어의 발음을 접하기 어려웠고 대신 인쇄물을 통해서 받아들였기 때문에 철자식 발음으로 된 외래어가 있다. ‘메달’(medal), ‘모델’(model)이 그런 예로 보인다.(일본어를 통해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둘째, 원어가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 ‘Hormon’일 수 있다. 독일어의 음절 끝에 오는 ‘r’를 우리가 ‘르’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arten’은 ‘가르텐’, ‘Dortmunt’는 ‘도르트문트’라고 한다. 셋째, 일본어 ‘호루몬’(ホルモン)이 들어와서 적절히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 세 가지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마도 세 번째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이를 증명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어원은 밝혀내기 어려운 것이고, 그래서 기록이 중요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35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91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21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48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3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41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32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58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02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02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75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73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58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51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61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18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76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81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05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11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86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83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