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6 12:08

엄치미 좋아!

조회 수 734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좋아!

‘엄치미’는 표준어 ‘꽤, 제법,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경상 지역에서 쓴다. “사나라꼬(남자라고) 일로(일을) 엄치미 한다.” ‘엄치미’와 유사한 말로는 ‘엉체미~엉채미’를 들 수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엉체미’를 ‘많이’의 잘못으로 풀이했다. 또 <우리말큰사전>에서 ‘엉체미’는 ‘많이’의 고장말로만 풀이했으나, <한국방언연구>에서는 함경북도 고장말로 보고한 바 있다.

‘엄치미’와 ‘엉체미’는 모두 ‘대견하다, 대단하다’라는 뜻의 경상도 고장말 ‘엄첩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여보게 만술아비/ 니 정성이 엄첩다/ 이승 저승 다 다녀도 인정보다 귀한 것 있을라꼬”(박목월의 시 ‘만술 아비의 축문’)

‘엄치미’와 대응하는 또다른 형태의 경상도 고장말은 ‘엄치’다. “날이 샐라 카믄 엄치 있어야겄지?”(<토지>, 박경리) 겉으로 보면 ‘엄치’가 ‘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꼭 그렇다고만은 볼 수 없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나는 ‘엄칭이’(엄청, 많이)는 부사 ‘엄청’과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엄청이’가 ‘엄청이>엄쳉이>엄칭이’로 변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근디, 굿값얼 앞돈만도 엄칭이 줬다미로?” 따라서 고장말 ‘엄치’나 ‘엄치미’는 ‘엄칭이>엄치이>엄치’ 혹은 ‘엄첩이>엄쳅이>엄칩이>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51
2710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58
2709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609
2708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80
2707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9
»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2705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6
2704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04
2703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270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33
2701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5
2700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7
2699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8
2698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6
2697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2
2696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06
2695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265
2694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24
2693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88
2692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82
2691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6
2690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21
2689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