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6 12:08

엄치미 좋아!

조회 수 735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좋아!

‘엄치미’는 표준어 ‘꽤, 제법,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경상 지역에서 쓴다. “사나라꼬(남자라고) 일로(일을) 엄치미 한다.” ‘엄치미’와 유사한 말로는 ‘엉체미~엉채미’를 들 수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엉체미’를 ‘많이’의 잘못으로 풀이했다. 또 <우리말큰사전>에서 ‘엉체미’는 ‘많이’의 고장말로만 풀이했으나, <한국방언연구>에서는 함경북도 고장말로 보고한 바 있다.

‘엄치미’와 ‘엉체미’는 모두 ‘대견하다, 대단하다’라는 뜻의 경상도 고장말 ‘엄첩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여보게 만술아비/ 니 정성이 엄첩다/ 이승 저승 다 다녀도 인정보다 귀한 것 있을라꼬”(박목월의 시 ‘만술 아비의 축문’)

‘엄치미’와 대응하는 또다른 형태의 경상도 고장말은 ‘엄치’다. “날이 샐라 카믄 엄치 있어야겄지?”(<토지>, 박경리) 겉으로 보면 ‘엄치’가 ‘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꼭 그렇다고만은 볼 수 없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나는 ‘엄칭이’(엄청, 많이)는 부사 ‘엄청’과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엄청이’가 ‘엄청이>엄쳉이>엄칭이’로 변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근디, 굿값얼 앞돈만도 엄칭이 줬다미로?” 따라서 고장말 ‘엄치’나 ‘엄치미’는 ‘엄칭이>엄치이>엄치’ 혹은 ‘엄첩이>엄쳅이>엄칩이>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66
1148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27
114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26
1146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114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20
1144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0
1143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520
1142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1141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15
1140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14
1139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512
1138 서울 風磬 2007.01.19 7509
1137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509
1136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07
1135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504
1134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1
1133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00
1132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99
1131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98
1130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97
1129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95
1128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495
1127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