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4 01:54

저어새

조회 수 830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어새

“늪은 보랏빛 가시연의 향으로 가득하네./ 왜가리와 백로 무리 온 세상 시름을 다 잊어/ 노란 댕기로 날아오르는 저어새의 저 품새로/ 노을에 물든 물살을 가르는 나룻배의 명상”

우포늪의 저녁노을 지는 한때를 사랑하는 사람들. 우포늪에서 세계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람사르 총회가 열려 자연 사랑을 새롭게 일깨웠다. 저어새는 전세계를 통틀어 1000여 마리뿐이다. 정말 드문 새인데, 여름이면 우포늪으로 찾아온다. 텃새가 아닌 여름새다. 부리와 눈과 다리를 빼면 온몸이 흰색이다. 천연기념물 205호로 몸 크기는 왜가리와 아주 비슷하다.

얼핏 보아 저어새의 두드러진 점은 부리의 생김새다. 영어로는 스푼빌(spoonbill)이다. 미루어 보건대, 스푼빌의 ‘스푼-숟가락’에서 비롯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젓가락 사용이 한국인의 머리를 발달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밥을 떠먹는 숟가락과 저어새의 부리 모양이 닮았다. 밥이 하늘이라는데, 요즘 우리는 먹고 살아야 할 음식의 소중함을 잊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저어새의 부리를 떠올리며 되돌아보게 된다. 마치 선조들이 쓰던 박물관의 큰 숟가락 같지 않은가. 새는 예의 부리로 물속을 저어(攪) 헤엄치며 먹잇감을 찾는다. 부리가 커서 일단 가까이 있는 먹을거리를 놓치지 않는다. 입이 가장 중요한 삶의 그릇이니까.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50
1896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19
1895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18
189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18
1893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5
1892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189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109
1890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09
188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08
188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887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104
1886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4
1885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04
1884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83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103
1882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0
188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880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92
1879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82
1878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2
187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876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72
1875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