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4 01:54

저어새

조회 수 826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어새

“늪은 보랏빛 가시연의 향으로 가득하네./ 왜가리와 백로 무리 온 세상 시름을 다 잊어/ 노란 댕기로 날아오르는 저어새의 저 품새로/ 노을에 물든 물살을 가르는 나룻배의 명상”

우포늪의 저녁노을 지는 한때를 사랑하는 사람들. 우포늪에서 세계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람사르 총회가 열려 자연 사랑을 새롭게 일깨웠다. 저어새는 전세계를 통틀어 1000여 마리뿐이다. 정말 드문 새인데, 여름이면 우포늪으로 찾아온다. 텃새가 아닌 여름새다. 부리와 눈과 다리를 빼면 온몸이 흰색이다. 천연기념물 205호로 몸 크기는 왜가리와 아주 비슷하다.

얼핏 보아 저어새의 두드러진 점은 부리의 생김새다. 영어로는 스푼빌(spoonbill)이다. 미루어 보건대, 스푼빌의 ‘스푼-숟가락’에서 비롯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젓가락 사용이 한국인의 머리를 발달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밥을 떠먹는 숟가락과 저어새의 부리 모양이 닮았다. 밥이 하늘이라는데, 요즘 우리는 먹고 살아야 할 음식의 소중함을 잊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저어새의 부리를 떠올리며 되돌아보게 된다. 마치 선조들이 쓰던 박물관의 큰 숟가락 같지 않은가. 새는 예의 부리로 물속을 저어(攪) 헤엄치며 먹잇감을 찾는다. 부리가 커서 일단 가까이 있는 먹을거리를 놓치지 않는다. 입이 가장 중요한 삶의 그릇이니까.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7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754
279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38
2797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39
2796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70
2795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070
279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01
2793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39
279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01
2791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31
2790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350
2789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15
2788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11
2787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23
2786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748
278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190
2784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07
2783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9983
2782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22
2781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2780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563
2779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4
277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167
277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