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4 01:54

저어새

조회 수 827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어새

“늪은 보랏빛 가시연의 향으로 가득하네./ 왜가리와 백로 무리 온 세상 시름을 다 잊어/ 노란 댕기로 날아오르는 저어새의 저 품새로/ 노을에 물든 물살을 가르는 나룻배의 명상”

우포늪의 저녁노을 지는 한때를 사랑하는 사람들. 우포늪에서 세계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람사르 총회가 열려 자연 사랑을 새롭게 일깨웠다. 저어새는 전세계를 통틀어 1000여 마리뿐이다. 정말 드문 새인데, 여름이면 우포늪으로 찾아온다. 텃새가 아닌 여름새다. 부리와 눈과 다리를 빼면 온몸이 흰색이다. 천연기념물 205호로 몸 크기는 왜가리와 아주 비슷하다.

얼핏 보아 저어새의 두드러진 점은 부리의 생김새다. 영어로는 스푼빌(spoonbill)이다. 미루어 보건대, 스푼빌의 ‘스푼-숟가락’에서 비롯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젓가락 사용이 한국인의 머리를 발달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밥을 떠먹는 숟가락과 저어새의 부리 모양이 닮았다. 밥이 하늘이라는데, 요즘 우리는 먹고 살아야 할 음식의 소중함을 잊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저어새의 부리를 떠올리며 되돌아보게 된다. 마치 선조들이 쓰던 박물관의 큰 숟가락 같지 않은가. 새는 예의 부리로 물속을 저어(攪) 헤엄치며 먹잇감을 찾는다. 부리가 커서 일단 가까이 있는 먹을거리를 놓치지 않는다. 입이 가장 중요한 삶의 그릇이니까.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7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768
730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4
»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71
728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575
727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44
726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45
725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21
724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24
723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7966
722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03
721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29
72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2
719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34
718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14
717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13
716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283
71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34
714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18
713 에프엠 바람의종 2009.09.03 9589
712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07
711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441
710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08
709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