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34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49
1808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27
1807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32
1806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67
1805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42
1804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68
1803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7980
1802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26
1801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174
1800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483
1799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23
»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47
1797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6
1796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03
1795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097
179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624
1793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37
1792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20
1791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87
1790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859
1789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18
1788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295
1787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