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49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62
1808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68
180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792
1806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10
1805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80
1804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33
1803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2
1802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83
180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790
1800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94
1799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1798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6001
1797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42
1796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7
1795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9
179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412
1793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1792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605
1791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08
1790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50
178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5
1788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109
1787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