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36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55
1808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496
1807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499
1806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04
1805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05
1804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6
1803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09
180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11
1801 누비다 風磬 2006.11.01 8512
1800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14
1799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16
1798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16
1797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23
17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24
1795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26
1794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26
1793 사리 風磬 2006.12.26 8527
1792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28
1791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29
1790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32
1789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34
1788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535
1787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