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40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1
3282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54
3281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354
3280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56
3279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57
3278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59
3277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359
3276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60
3275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360
3274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60
3273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362
3272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64
327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364
3270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64
3269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65
326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65
3267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365
3266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66
3265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70
3264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71
3263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71
326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72
3261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