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7 06:43

제트(Z)

조회 수 723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트(Z)

외래어

세계 최대의 세력을 구가하고 있는 문자는 단연 로마자다. 영어를 비롯한 많은 서유럽 언어들이 로마자로 표기되고, 영어가 또한 세계의 공용어 구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마자를 이루는 낱자는 26개 정도로, 언어마다 각각 불리는 이름이 있다. 우리는 대개 영어식 이름을 사용한다. 그런데 다른 것과 달리 영어식이 아닌 특이한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있으니 바로 ‘제트’(Z)이다. 미국 영어를 제외한 다른 영어권에서 이것의 이름은 ‘제드’([ze:d])이며, 미국 영어에서는 ‘지’([zi:])라고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제트’는 ‘젯토’(ゼット)라고 이르는 일본어에서 건너왔을 가능성이 높다. 언제 들어왔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1970년대 후반에 만들어졌던 <태권브이>라는 로봇 만화영화와 비교되는 일본의 <마징가제트>를 통해서 ‘제트’가 더 굳어졌을 것이다. 그렇다면 일본은 왜 ‘제드’와 닮지 않은 ‘젯토’라고 할까. 네덜란드어로 ‘Z’를 바로 ‘제트’(zet)라고 이르므로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 문물을 접하게 해준 네덜란드의 영향이 아닐까 싶다. 물론 루마니아 말이나 체코 말로도 ‘제트’이나, 이들 언어가 일본어로 들어갔을 것 같지는 않다.

‘Z’의 이름은 그리스 말 ‘제타’(zeta)에서 출발하여, 이탈리아 말 ‘체타’(zeta), 에스파냐 말 ‘세타’(zeta), 프랑스 말 ‘제드’(z<00E8>de), 독일 말 ‘체트’(zet), 덴마크 말 ‘세트’(zæt), 스웨덴 말 ‘세타’(s<00E4>ta), 포르투갈 말 ‘제’(z<00EA>) 등을 낳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45
180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15
1807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29
1806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73
180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2
180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77
1803 부럼 風磬 2006.12.20 7231
1802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21
1801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4
180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47
1799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70
1798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804
1797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31
1796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73
1795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90
179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179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1
179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73
17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109
1790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22
1789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9
1788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31
1787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