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45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378
180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36
1807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54
1806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09
180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600
180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303
1803 부럼 風磬 2006.12.20 7244
1802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21
1801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31
180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85
1799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93
1798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804
1797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36
1796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77
1795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279
179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42
179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8
179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93
17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112
1790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34
1789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21
1788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61
1787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