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29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66
1808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85
1807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488
1806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491
180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494
1804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96
18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96
1802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00
1801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1
1800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04
179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04
1798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05
179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9
179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14
1795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14
1794 사리 風磬 2006.12.26 8521
1793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522
1792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523
1791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25
1790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25
1789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26
1788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26
1787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