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33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15
1962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129
1961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35
1960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36
1959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37
1958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37
1957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4
1956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47
195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47
1954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48
1953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50
1952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0
1951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53
1950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7
1949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1948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61
1947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163
1946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165
1945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6
1944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1943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68
1942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0
1941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