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29 08:18

도요새

조회 수 632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요새

짐승이름

“배고프다. 어디 맛있는 물고기나 조개가 없을까.” 모래사장을 보니, 조개가 껍데기를 벌리고 쿨쿨 자고 있는 것이 아닌가. 도요새는 다가가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고 했다. “아야!” 깜짝 놀란 조개는 황급히 껍데기를 닫았다. 이번엔 도요새의 부리가 조개껍데기에 꽉 물렸다. “아이고, 아파. 이거 놓지 못해.” 조개가 부리를 놓지 않자, 도요새는 화를 냈다. “흥, 계속 그러고 있으면 너는 말라비틀어져서 죽어버릴걸.” “뭐라고? 이대로 너의 부리를 물고 있으면, 넌 아무것도 못 먹고 죽고 말 거야.” 어디선가 이 광경을 본 어부는 도요새와 조개를 모두 잡아버렸다.

어부지리(漁夫之利)에 대한 고사이다. 죽기 살기로 싸우다가는 모두가 함께 거꾸러지고 만다. 정신없이 살다 보면 내게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돌아보아야 한다. 남북한이 으르렁거리고 싸우다 보면 누가 어부의 이익을 볼 것인가. 밤에 불을 봄과 같다.

도요새는 얕은 물을 걸어다니며 물고기나 벌레들을 잡아먹고 산다. 물에 떠다니는 갈매기류와는 다르다. 하지만 부리가 길고 날카롭다. 일종의 섭금류의 물새다. 도요새의 옛말이 도요 혹은 도요새(훈몽자회)다. 미루어 보건대, 물속에 우뚝 서서 물고기를 기다리며 사냥을 준비하고 있는 새매를 나타내는 도요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몸은 작지만 멀리 혹은 높이 날며 자신의 그림자를 생각하는 도요새의 명상을 배울 필요가 있다. 때로는 살기 위하여.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21
1786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24
1785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777
17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304
1783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32
1782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9
1781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832
1780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36
1779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92
1778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64
1777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55
1776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3
177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549
1774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06
1773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323
177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263
1771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89
177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94
1769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107
1768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1767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38
176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129
1765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7 Next
/ 157